구분 | 이론 및 실습 교육 일자 | 비고 |
---|---|---|
1월 | 11일 ~ 14일 | 교육일정은 단체수강신청자의 요청과 교육장 사정에 따라 변경 가능합니다. 참석 전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. |
2월 | 8일 ~ 11일 | |
3월 | 8일 ~ 11일 | |
4월 | 12일 ~ 15일 | |
5월 | 10일 ~ 13일 | |
6월 | 7일 ~ 10일 | |
7월 | 12일 ~ 15일 | |
8월 | 9일 ~ 12일 | |
9월 | 20일 ~ 23일 | |
10월 | 11일 ~ 14일 | |
11월 | 15일 ~ 18일 | |
12월 | 13일 ~ 16일 |
구분 | 교육내용 | 진행 | 이론 |
---|---|---|---|
구들의 의미와 구조 |
▶ 전통구들 구조의 이해 - 함실아궁이와 부뚜막 아궁이 중심으로 ▶ 현대구들의 의미와 용어 |
이론 | |
재료와 공구 |
▶ 황토, 구들장, 적벽돌, 모래, 화구 재료별 소요량 산출 ▶ 구들공사에 필요한 공구와 사용 요령 |
이론 | |
부분별 역할과 특징 | ▶ 함실, 개자리, 고래, 시근담, 고래둑, 구들장의 역할과 특징 | 실습 | |
부분별 실습 |
▶ 함실아궁이 만들기 : 이맛돌, 화구의 의미 ▶ 개자리(화굴만들기)와 연도 ▶ 시근담 : 연기 잡는 방법 ▶ 고래둑 : 고래 설계 요령과 바람막이 ▶ 구들장 덮기 : 순서와 함실 위 이중구들 ▶ 거미줄치기와 연기 잡기 요령 ▶ 부토와 1차 물미장 의미 ▶ 굴뚝개자리와 항아리, 벽돌 굴뚝형태 |
실습 |
▶ 문화재수리기능자시험 응시예정자 - 구들장실습 시 화강함 실습 - 문화재 보수의 개요 파악 |
구들의 역사와 문화 |
▶ 아자방 구들과 구들의 역사 ▶ 다른 나라의 구들 문화 ▶ 구들방에서 황토 |
이론 | |
다양한 구들의 형태 |
▶ 함실아궁이와 부뚜막아궁이 ▶ 줄고래와 허튼고래 ▶ 되돈고래 |
이론 실습 |
|
구들작업의 흐름 |
▶ 실제 현장에서 진행되는 일의 순서를 파악 ▶ 함실자리부터 굴뚝 개자리까지의 흐름 ▶ 보수공사와 신축공사의 흐름도 이해 |
실습 |
▶ 해체작업의 순서 - 문화재수리 시 |
시간 | 1일차 | 2일차 | 3일차 | 4일차 |
---|---|---|---|---|
08:00~09:00 | 아침 | |||
09:00~10:00 | 교육입소 | 개자리(회굴) 만들기와 연도위치잡기 | 된반죽, 알매 | 굴뚝개자리 |
10:00~11:00 | 구조 이해 재료와 공구 |
구들장 개자리 덮기와 작업순서 |
굴뚝의 위치와 역풍 |
|
11:00~12:00 | ||||
12:00~13:00 | 점심 | |||
13:00~14:00 | 부분별 역할과 특징 |
고래바닥과 마감선 |
함실장과 구들장의 이중구조 |
함실아궁이 2차 실습 -화구 중심으로 |
14:00~15:00 | ||||
15:00~16:00 | 함실아궁이 개인별 실습 |
시근담과 고래켜기 설계 및 실습 |
거미줄치기와 시근담 연기잡기 |
|
16:00~17:00 | ||||
17:00~18:00 | 부토 | |||
18:00~19:00 | 저녁 | |||
19:00~20:00 | 궁궐구들사례 | 구들 소요자재 | 다양한 현장 사례 |
내 손으로 만드는 전통 궁궐구들 교육
- 교 육 장 : 대구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 68
- 홈페이지 : 코리아한옥, 사단법인 한국전통구들협회 (32시간 4일 교육 / 매월 실시)
- 교육문의 : 010-9352-8009
주관 : 대구전통구들교육문화원
후원 : (사) 한국전통구들협회